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49

[정처기실기] 1. SW 개발 보안 설계 - 5과목 정보보안 [정처기실기] 1. SW 개발 보안 설계 - 5과목 정보보안 지난 시간에는 IOS7계층, TCP/IP, 라우터 알고리즘을 상세하게 배웠습니다. 동적 라우터 할당에서 IGP(RIP, OSPF), EGP(BGP)을 공부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정보 보안 많이 외우는 기무가 부터 시큐어 코딩과 복구 시점까지 학습할 것입니다. 정보처리기사에서 뜬금없이 출제되는 부분이라 지나치시기보단 한 번 읽고 지나가시기 바랍니다. 목차 정보 보안이란? 정보 보안은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여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 전략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보호하는 것으로,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서비스 및 기타 정보 기술(IT) 시스템을 포함합니다. 정보보안 요.. 2024. 4. 10.
[정보처리기사 실기] 6. OSI 7계층, TCP/IP, 라우팅 프로토콜 - 4과목 네트워크 정보처리기사 실기 6. OSI 7계층, TCP/IP, 라우팅 프로토콜 - 4과목 네트워크 지난 시간은 프로토콜(구의타)에 대해 공부하였습니다. 흐름제어, 오류 제어(ARQ), 오류수정(전진(상승,해밍), 후진(CRC,체크섬, 패리티)) 등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번 시간은 반드시 기억해야하는 파트입니다. 정처기 실기에서 꼭 한 문제는 출제되는 OSI,TCP/IP,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해 다룹니다. RIP는 23년에도 출제되었던 전적이 있으며 23년에 라우팅 프로토콜이 두번 출제되었으므로 매번 물어보기 좋은 문제로 보여집니다. 목차 OSI 7 계층이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일곱 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개념적인 프레임워크입니다. 각 계층은.. 2024. 4. 9.
[정처기 실기] 5. 프로토콜의 개념과 역할 - 4과목 네트워크 [정처기 실기] 5. 프로토콜의 개념과 역할 - 4과목 네트워크 지난 시간에는 정보처리기사의 계산 문제인 서브넷팅과 자주 출제되는 IPv4(유멀브), IPv6(유멀애) 그리고 서로 전환되는 방식(터널링, 듀얼스택, 주소변환) 등을 공부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프로토콜입니다. 이후에 배우게 되는 OIS 7계층을 단순히 문제가 사라지고 각 계층의 프로토콜을 묻는 문제도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기초 내용을 반드시 알아두셔야합니다. 목차 프로토콜이란? 프로토콜(protocol)은 컴퓨터 네트워크나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위한 규칙의 집합을 말합니다. 이러한 규칙은 데이터를 교환하고 전송하는 방식을 정의하며, 통신하는 장치들 간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기본요소(구의타) 구문(.. 2024. 4. 9.
[정보처리기사] 4. 인터넷, IPv4와IPv6, 서브넷팅계산 - 4과목 네트워크 [정보처리기사] 4. 인터넷, IPv4와IPv6, 서브넷팅계산 - 4과목 네트워크 지난 시간은 데이터 교환 방식(전용회선, 교환회선(회선 교환, 축적교환(패킷(데이터그램, 가상회선), 메시지교환)) 그리고 다중화기(주파수, 시분할, 공간, 파장, 코드)에 대해 공부하였습니다. 시분할은 동기식(비효율), 비동기식(효율)로 구분됩니다. 이번 시간에 인터넷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IPv4, IPv6와 주소체계 그리고 둘 간의 전환 방식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전환체계와 주소체계는 정말 자주 출제되므로 꼭 확인하고 지나가셔야합니다. 목차 인터넷이란?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의 거대한 집합체를 가리킵니다. 이것은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치가 TCP/IP(Transmission Contro.. 2024. 4. 9.
3. 데이터 교환방식, 다중화 - 4과목 네트워크 3. 데이터 교환방식, 다중화 - 4과목 네트워크 이전 시간에는 데이터와 물리계층에 있는 LAN(근거리 네트워크)에 대해 공부하였습니다. 장비로는 NIC, hubm repeater, 스위치, 브릿지가 있었으며, 인접한 노드들 간의 정보를 전달하기위 흐름제어, 오류제어를 하는 LLC와 무선 or 유선 or 토근 버스토든 or 버스링과 관련된 MAC 그리고 HDLC(프레임, 플래그->주소->제어->data->fcs->플래그) 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리고 802 규약 1~15 등을 배웠습니다. 또한, 동기 응답 모드, 비동기 균형 모드, 비동기 응답 모드는 지난 시험에서 출제된 바 있기 때문에 꼭 기억해주시기바랍니다. 이번 시간은 데이터 교환방식을 꼭 알아두셔야합니다. 패킷 교환 방식 중 데이터그램, 가상회선.. 2024. 4. 8.
2. 근거리 통신망 - 4과목 네트워크 2. 근거리 통신망 - 4과목 네트워크 지난 시간에는 네트워크(PAN,LAN,MAN,WAN)와 네트워크포톨리지(계층, 버스, 선형, 망형, 링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은 물리, 데이터,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장비 허브,리피터,NIC, 스위치, 브릿지 등을 학습하고 LNA의 프로토콜(LLC, MAC)과 802시리즈와 HDLC(데이터링크 프로토콜)에 대해 공부합니다. 이 내용들을 정보처리기사에서 자주 출제되므로 꼭 확인해보셔야하며, 암기 효율대비 가성비 좋은 문제이기 때문에 직전에라도 꼭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목차 LAN이란? LAN은 Local Area Network(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약자로, 근거리에서 여러대의 컴퓨터와 주변장치가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통신하는 망을 말합니다. 제.. 2024. 4. 8.
1. 네트워크 기본 - 4과목 네트워크 1. 네트워크 기본 - 4과목 네트워크 지난 시간까지는 운영체제 중 로그파일 및 스토리지 등에 대한 내용을 다뤘었습니다. 주요 내용들은 로그파일 중 xferlog는 ftp, wtmp는 전체 사용자 로그인 정보, utmp는 현재 사용자, btmp는 로그인 실패 정보를 말합니다. 스토리지에서는 DAS:USB처럼 직접, NAS: 네트워크용 컴퓨터,SAN : 파이버 채널을 배웠으며, RAID : 스트라이핑, 1. 미러링 2. 해밍 3. 패리티 4. 패리티(블록), 5. 각각 패리티, 6 이중 패리티라는 것도 기억해주셔야합니다. 이번 시간은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에 출제될 만한 내용은 많지 않으므로 여유로우실 때 간단히 읽고 지나가셔도 좋습니다. LAN에 대한 내용만 중.. 2024. 4. 8.
6. 디스크 스케줄링 & 환경변수 - 3과목 운영체제 디스크 스케쥴링지난 시간은 병행제어, 교착상태 등에 대해 배웠습니다. 병행을 제어하기 위해서 임계구역, 상호배제, 동기화(세마포어, 모니터) 등을 활용합니다. 서로 자원을 가진 상태에서 서로 자원 공유한 자원을 기다리는 교착상태에서는 상호배제, 점유대기, 비선점, 환형대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회피기법(은행가알고리즘)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와 함께 비완료 의존성, 갱신분실, 모순성, 연쇄복귀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로킹을 사용한다는 것도 기억해 주세요. 이번 시간은 출제 빈도가 낮은 디스크 스케쥴링과 환경변수, 스토리지, RAID에 대한 내용입니다. RAID는 출제된 적이 있으므로 확인해 보고 지나가셔야 하며, 스케줄링 방식도 꼭 챙겨가셔야 합니다. 특징들만 정확히 보시고 지나가시길 바랍니다. 목.. 2024. 4. 7.
[정처기 실기] 5. 병행프로세스 - 3과목 운영체제 부가 제목 추가 지난 시간은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으로 스레드(코드, 데이터, 힙 공유 | 스택영역 비공유), 프로세스 상태전이도(Dispatch, Time Run Out, wake up 등), 프로세스 스케줄링(선점(RR, SRT, MLQ, MLFQ),비선점(FCFS, SJF, HRN, 우선순위, 기한부)에 대해 배웠습니다. 기아현상과 그를 해결하는 에이징현상을 기억하셔야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두개 이상의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병행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공유자원을 쓸 때 서로 엉키거나 문제가 발행하는 것을 교착상태라고 하며, 이를 해결하기위한 방식들이 있습니다. 상호배재, 점유대기, 비선점, 환형대기는 꼭 기억해주셔야합니다. 목차 병행프로세스란? 병행 프로세스(Concurrent Processes)는.. 2024. 4. 7.
[정처기 실기] 4. 프로세스 - 3과목 운영체제 부가 제목 추가 지난 시간에는 가상 기억장치에 대해 배웠습니다. 가상기억장치는 보조기억 장치를 마치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고정 분할 방식의 페이징(내부단편화), 가변 분할 방식의 세그멘테이션(외부단편화)을 활용합니다. 지역성(공간,시간), 워킹셋, 스레싱에 대한 내용과 반입(요구, 예상), 배치(최초, 최적, 최악), 교체방식방식들에 대한 내용은 개념들을 알아두셔야합니다. 정보처리기사에서 많이 출제된다기보다 하나씩은 꼭 나오는 파트이니, 프로그래밍 언어를 익히시면서 한번씩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프로세스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말합니다.프로그램은 보조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주기억 장치 RAM으로 상주를 시키는 로더를 하게 됩니다. CPU가 프로.. 2024. 4. 7.
3. 가상기억 장치 - 3과목 소프트웨어 부가 제목 추가 지난 시간에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관리 기술의 한 형태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메모리 관리 전략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상기억장치 페이지 교체알고리즘(FIFO, OPT, LRU, LFU, NRU,SCR)을 중심으로 공부할 것입니다. 최근 출제되지 않아 출제될 확률이 되려 높으므로 꼭 챙겨가지실 바랍니다. 단편화를 조절하기 위한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 기법도 알아두셔야합니다. 목차 가상기억 장치란? 보조기억 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법 가상기억 장치는 메모리 관리 기술 중 하나로, 주기억장치(RAM)의 용량을 늘리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컴퓨터는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프로세스의 데이.. 2024. 4. 6.
[정보처리기사] 2. 메모리 관리 - 3과목 운영체제 [정보처리기사] 2. 메모리 관리 - 3과목 운영체제 지난 시간에는 운영체제 기초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기억장치 중 레지스터, 캐시, 주기억 장치, 보조기억 장치, 앞에서부터 속도가 빠르고 가격이 비쌉니다. loader는 주기억장치로 적재시키는거 Linker는 목적 프로그램을 실행가능하게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제어프로그램의 감시, 작업, 데이터 프로그램을 기억하셔야합니다. 메모리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에 저장된 것을 이야기하고, 로더를 통해 실행되면 주기억장치 올라가게 되고 프로세스들이 됩니다. 주기억장치는 용량은 한정적인 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메모리 관리가 필요합니다. 목차 기억장치 관리 전략이란? 기억장치 관리 전략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관리 기술의 한 형태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사용 .. 2024. 4. 6.
1. 운영체제 기초 - 3과목 운영체제 1. 운영체제 기초 - 3과목 운영체제 지난 시간까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기본적인 SQL과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뤘으며, 모두 시험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에 비하면 운영체제 파트는 비교적 적게 출제되지만, 매회 한 문제이상을 출제되는 파트이므로 한번씩 읽고 지나가시길 바랍니다. 이번 시간은 각 운영체제의 특징들에 대한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운영체제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소프트웨어입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이 하드웨어와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모든 작업을 처리합니다. .. 2024. 4. 5.
11. 병행제어와 데이터 전환 - 2과목 데이터 베이스 구축 11. 병행제어와 데이터 전환 - 2과목 데이터 베이스 구축 지난시간은 저장 프로시저(데이터 베이스에 돌아가는 모듈)로 많은 데이터가 있거나 아예 아무 출력문이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드시 리턴값은 하나입니다. 트리거는 DML에 대한 특정 조건에 연쇄적으로 처리해서 DB에 저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윈도우함수에 대해 공부했었습니다.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서는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은 공유, 저장, 통합, 운영 데이터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렇듯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공유데이터는 병행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제어해야한다는 것이 이번 시간의 내용입니다. 정처기 실기에서 자주 출제되는 것 중 하나인 병행제어가 나오는 파트이기 떄문에 꼼꼼히 봐주셔야합니다. 2024.04.04 - [정보처리기사] - 10. SQ.. 2024. 4. 5.
10. SQL 그룹함수, 절차형 SQL - 2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10. SQL 그룹함수 기본 개념 - 2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이 전 시간에는 join, 집계함수 등을 배웠습니다. 반드시 알아야하는 부분이므로 반복하셔서 보셔야합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는 매회 SQL 문제를 꼭 출제 합니다. 1과목을 다 못보더라도 SQL은 여러번 학습해야합니다. 앞 선 두개의 포스팅과 같이 이번 시간 역시 SQL에 대한 내용입니다. 앞의 두 포스팅보다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룹함수 group by는 꼭 익혀 가셔합니다. 목차 그룹함수란? 말 그래로 데이터를 특정 그룹을 만들어서 데이터를 보는 것입니다. DB에는 학년, 성별등 여러개가 중복되는 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을 합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그룹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행을 그룹화하고 그룹에 대한 .. 2024. 4. 4.
[정보처리기사] 9. SELECT 문 응용 - 2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9. SELECT 문 응용 - 데이터베이스 구축 저번 시간에는 SQL문의 기본 문법 DDL, DML, DCL(TCL) 등을 학습했습니다. 정보처리기사에서 반드시 나오는 문제들이 므로 이번 파트와 저번 파트는 꼭 공부하셔야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집합연산자, JOIN, 서브쿼리를 배우게 됩니다. 조금만 어렵게 나오면 반드시 나오는 문법들이니 암기하시고 익숙해지시길 바랍니다. 목차 연습할 수 있는 웹사이트 https://www.w3schools.com/sql/ 위 사이트는 w3shcool로 sql을 연습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join은 어려운 것 같은데, 원하시면 mysql과 DBeaver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집합 연산자 집합 연산자는 SQL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두 개 이상의 데이터 그룹을 결합하거나.. 2024. 4. 4.
8. SQL의 기본기 - 데이터베이스구축 8. SQL의 기본기 - 데이터베이스구축 지난 시간은 CRUD, DML문을 입력했을 때 최적의 결과를 가져오는 옵티마이저(규칙, 비용), 튜닝(설계, 환경, SQL문장), 트랜잭션, 투명성 등을 공부했습니다. 정보처리기사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꼭 공부해야하는 파트입니다. 이번 시간은 시험에서 문제를 직접 풀어서 답을 유추해야하는 SQL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이번 파트는 다른 파트들과 달리 연산에 대해 집중해서 보셔야하며, 명령어들을 기억해주셔야합니다. 목차 SQL이란? SQL은 데이터베이스와 대화할 수 있는 언어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를 저장하는 곳으로, 예를 들어 고객 정보나 주문 내역 같은 것들이 저장됩니다. 이 정보에 접근하고 수정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그게 바로 S.. 2024. 4. 2.
7. 물리데이터모델 품질 검토 & 분산 데이터 베이스 - 2과목 데이터 베이스 구축 7. 물리데이터모델 품질 검토 & 분산 데이터 베이스 지난 시간에는 키와 무결성등 데이터베이스의 주요개념에 대해 배웠습니다. 개체, 참조, 도메인은 직접 쓸 수 있을 정도로 암기가 되어야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물리데이터 모델 품질 검토와 분산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주요 개념은 CRUD와 옵티마이저, 트랜잭션이됩니다. ACID 와 투명성은 꼭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목차 CRUD란? CRUD는 "Create, Read, Update, Delete"의 약어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 가지 기본 데이터 조작 기능을 가리킵니다. CRUD는 클라우드 매트릭스라고 읽습니다. 업무/테이블 회원 상품 주문 회원가입 C 로그인 R 상품보기 R 상품주문 CUD 상품취소 UD .. 2024. 4. 2.
6. 키와 무결성 제약조건 - 2과목 데이터 베이스 구축 - 릴레이션, 속성, 키 6. 키와 무결성 제약조건 - 2과목 데이터 베이스 구축 목차 속성이란?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속성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열을 나타냅니다. 각 속성은 해당 열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특성이나 속성을 설명합니다. 정보를 설명하는 가장 작은 단위 다른 용어로 열(column) 또는 필드(field)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테이블의 경우 "이름", "나이", "성별" 등이 속성이 될 수 있습니다. 각 속성은 해당 속성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유형을 결정하고, 데이터의 의미를 설명합니다. 속성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스키마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속성의 특징 하나의 속성에는 하나의 값만을 가져야 한다. 여러 값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테이블로 분리된다. 유형(.. 2024. 4. 1.
5. 관계 데이터 모델 - 2과목 데이터 베이스 구축 5. 관계 데이터 모델 - 2과목 데이터 베이스 구축 지난 시간에는 클러스터, 뷰, 인덱스,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물리 데이터 베이스 설계에서 정규화를 진행했는데도 성능 향상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반정규화를 진행하면 되지만, 이게 녹록치 않을 때 위 방법들을 이용합니다. 이러한 설정들에 기반이 되는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대한 내용이 이번 내용입니다. 목차 관계 데이터 모델이란? 관계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를 테이블 형식으로 구조화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입니다. 이 모델에서 데이터는 테이블이라는 열과 행의 구조로 표현되며, 각 테이블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 간의 관계는 테이블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키(Foreign Key).. 2024. 4. 1.
728x90
반응형